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이탈리아 왕국이 에티오피아 제국을 침략하여 벌어진 전쟁이다. 이탈리아는 19세기 말 아두와 전투에서 패배한 후 에티오피아를 식민지화하려는 시도를 재개하여, 1935년 10월 에티오피아를 침공했다.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 완전 점령을 고집했고, 국제 연맹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강행했다. 이탈리아군은 화학 무기를 사용하고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하며 승리했으나, 에티오피아의 저항 운동은 지속되었다. 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연합군의 개입으로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에서 축출되었고, 1947년 평화 조약으로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공식 인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분쟁 이름 | |
한국어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암하라어 | ጣልያን ወረራ (Ṭalyan warära) |
이탈리아어 | Guerra d'Etiopia |
전쟁 기간 | |
기간 | 1935년 10월 3일 ~ 1937년 2월 19일 |
장소 | |
위치 | 에티오피아 |
결과 | |
결과 | 이탈리아의 승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제국 수립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에티오피아 제국 |
교전국 2 | (이탈리아 왕국) |
지휘관 | |
에티오피아 제국 |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임루 하일레 셀라시에 물루게타 예가즈 카사 하일레 다르제 나시부 에마누엘 데스타 담테우 |
이탈리아 왕국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베니토 무솔리니 에밀리오 데 보노 피에트로 바돌리오 로돌포 그라치아니 루제ー로 산티니 (Ruggero Santini) 이타로 가리볼디 (Italo Gariboldi) 조반니 메세 (Giovanni Messe) 에토레 바스티코 (Ettore Bastico) 루이지 푸르시 (Luigi Frusci) 하미드 이드리스 아와테 (Hamid Idris Awate) 오롤 딘레 (Olol Dinle) |
병력 규모 | |
에티오피아 제국 | 병력: 350,000 ~ 760,000명 전차: 4대 장갑차: 7대 포: 200문 항공기: 13대 |
이탈리아 왕국 | 병력: 500,000 ~ 685,000명 전차: 599 ~ 800대 포: 2,000문 항공기: 595대 |
사상자 규모 | |
에티오피아 제국 | 전사자 약 70,000명 |
이탈리아 왕국 | 전사자: 8,850명 부상자: 9,000명 질병으로 송환: 18,200명 |
민간인 사상자 | 120,000 ~ 200,000명 |
2. 배경
19세기 말,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식민지화하려 했으나 1896년 아두와 전투에서 패배하며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실패로 끝났다. 이탈리아는 1884년 유럽 열강들의 베를린 회담에서 살아남은 몇 안되는 독립국 중 하나인 에티오피아 정복에 실패한 후,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관리하는데 국한했다.
무솔리니는 영국과 프랑스와의 협상을 시도했으나, 에티오피아의 완전한 군사 점령을 고집하여 결렬되었다. 1932년 4월, 무솔리니는 파시스트 대평의회에서 에티오피아에 대한 적극책을 선택했고, 전쟁을 전제로 영국 및 프랑스와의 관계 개선에 나섰다. 영국, 프랑스의 개입을 예상했지만, 양국의 국익을 침해할 의도가 없는 이상 협상은 용이할 것으로 판단했다.
1935년 10월 3일, 모든 중재 제의를 거부하고 피에트로 바돌리오와 로돌포 그라치아니가 이끄는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를 침공했다. 빈약한 장비와 제대로 된 훈련도 받지 못한 에티오피아군은 1936년 4월 9일 아샹기 호수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대패했다.
1925년 12월 14일,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부는 영국과 비밀 협정을 맺어 해당 지역에서 이탈리아의 지배력을 강화하려 했다. 이 협정은 곧 유출되어 프랑스와 에티오피아의 분노를 샀고, 에티오피아는 이를 국제 연맹 회원국에 대한 배신으로 비난했다.
1930년대, 베니토 무솔리니는 '고대 로마 제국의 부흥'을 내세우며 팽창 정책을 추진했다.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와 인접한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와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를 보유하고 있어, 에티오피아 침공은 현실적인 선택이었다.
1928년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조약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와 에티오피아 사이의 국경을 베나디르 해안과 평행하게 21 리그(약 118.3 km)로 명시했다. 그러나 1930년 이탈리아는 오가덴의 웰웰 오아시스(왈왈)에 요새를 건설하고 소말리아 두바트 병력을 주둔시켰는데, 이는 조약에 명시된 국경을 훨씬 넘는 에티오피아 영토 내였다.
1934년 12월,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 국경 지대에서 충돌(왈왈 사건)이 발생했다. 영국-에티오피아 국경 위원회가 웰웰에 도착했을 때, 이탈리아군은 장갑차와 폭격기의 지원을 받아 공격을 가했고, 이로 인해 약 110명의 에티오피아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사건은 아비시니아 위기를 야기했고, 이탈리아는 이를 침공의 구실로 삼았다.
3. 외교적 노력과 실패
1935년 1월 7일, 이탈리아는 프랑스-이탈리아 협정을 체결하여, 유럽에서 협력하는 대가로 아프리카에서 사실상 자유로운 행동을 허용받았다. 피에르 라발은 무솔리니에게 나치 독일에 대항하는 프랑스-이탈리아 동맹을 원하며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에서 "자유로운 행동"을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1935년 12월, 영국과 프랑스는 호어-라발 협정을 제안하며 에티오피아 영토 일부를 이탈리아에 할양하려 했으나 에티오피아는 이를 거부했다. 무솔리니는 영국, 프랑스와의 완전한 단절을 피하기 위해 호어-라발 협정을 고려하는 척했지만, 에티오피아 정복이라는 목표를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1935년 1월 3일,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의 침략을 국제 연맹에 제소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이탈리아에 경제 제재를 가했지만, 효과는 미미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에 대항하는 동맹국으로 이탈리아를 선호하여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국경에서 이탈리아의 군사력 증강을 막기 위한 강력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영국의 해상력에 대한 전통적인 이탈리아의 존경심을 공유했으며 무솔리니에게 이탈리아가 영국을 적으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와르와르 사건 이후, 1935년 8월 16일부터 파리에서 이탈리아,영국,프랑스 3국 대표가 회담을 가졌으나, 무솔리니는 에티오피아의 군사 점령에 집착하여 회담은 결렬되었다. 9월 10일, 영국과 프랑스 대표는 회담을 갖고, 이탈리아에 대해서는 군사 제재나 수에즈 운하 봉쇄 등 강경 조치는 취하지 않고, 국제 연맹의 틀 안에서 전쟁을 억제하는 방침을 취하기로 합의했다.
영국과 프랑스가 이탈리아 억제를 명확히 하지 않자, 에티오피아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는 국가 총동원을 명령했다.
4. 전쟁 과정
1936년 5월 5일 이탈리아군이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하자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국외로 망명했다. 이탈리아는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에티오피아 황제로 선언하고 바돌리오를 총독으로 하는 괴뢰 정부인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제국을 수립했다.
1935년 10월 3일, 그라치아니는 에티오피아군을 여러 국경 초소에서 몰아내고 남부 전선 전체에서 일련의 탐색 공격에 대한 반응을 시험하기 위해 밀라노 계획을 시행했다. 잦은 비로 인해 계획이 지연되었지만, 3주 이내에 오가덴의 켈라포, 다그네라이, 게를로구비, 고라하이 소말리아 마을이 이탈리아의 손에 들어갔다. 그해 말, 라스 데스타 담투는 네겔레 보라나 주변 지역에 군대를 집결시켜 돌로로 진격하여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침공하려 했다. 1936년 1월 12일부터 16일 사이에 이탈리아군은 제날레 도리아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을 격파했다. ''레지아 아에로나우티카''는 라스 데스타의 군대를 괴멸시켰으며, 에티오피아 측은 독가스가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
1936년 2월에 소강 상태를 보인 후, 남부의 이탈리아군은 하르로 진격을 준비했다. 3월 22일, ''레지아 아에로나우티카''는 하르와 지지가를 폭격하여 폐허로 만들었으며, 하르는 "개방 도시"로 선언된 상태였다. 4월 14일, 그라치아니는 라스 나시부 엠마누엘을 공격하여 오가덴 전투에서 야전에 남아있던 마지막 에티오피아 군대를 격파했다. 에티오피아군은 라스 나시부의 참모장이자 노련한 전 오스만 제국 사령관인 웨히브 파샤가 설계한 "힌덴부르크 장벽"으로 불리는 방어선 뒤에 배치되었다. 10일 후, 마지막 에티오피아군은 붕괴되었으며, 이탈리아군 2,000명과 에티오피아군 5,000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다.
12월 중순, 진군이 더디었던 보노 장군은 해임되고, 피에트로 바돌리오가 총사령관으로 취임했다. 바돌리오는 조기 점령을 목표로 적극적인 진군을 계속했으며, 조약으로 금지된 독가스에 의한 진압마저 사용했다. 독가스 공격으로 국제 사회로부터 더 큰 비난을 받았지만, 『무솔리니의 독가스』에서 그 효과를 검증한 안젤로 델 보카는, 동 전쟁에서의 독가스 사용에 그다지 군사적 효과는 없었으며, 만약 이것을 사용하지 않아도 (통상 병기만으로도) 변함없는 승리를 거둘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히려 효과를 거둔 것은 그라치아니가 행한 전략 폭격 쪽으로, 1936년 3월 29일, 그라치아니 휘하의 공군 부대가 에티오피아 동부의 도시 하라르를 소이탄에 의한 폭격으로 괴멸시켰다. 또한 에티오피아군은 헤이그 육전 조약으로 군사 이용이 금지된 확장 탄두 (덤덤탄)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에티오피아 측의 전쟁 범죄에 대한 보복이라는 측면이 강했다.
1936년 3월 31일, 마지막 주요 전투인 메이추 전투에서 이탈리아 육군은 에티오피아 제국 친위대와 교전했고, 이 전투는 이탈리아군의 승리로 끝났다. 제국 친위대는 괴멸되었고, 근대적인 정예 부대를 상실한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5월 2일에 국외로 탈출하여 후에 영국으로 망명했다. 5월 5일, 이탈리아군이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하면서 전쟁은 종결되었지만, 그 후에도 에티오피아 귀족을 중심으로 한 저항 활동은 오래 지속되었다.
4. 1. 이탈리아의 침공 (1935년 10월)
1935년 10월 3일, 피에트로 바돌리오와 로돌포 그라치아니가 이끄는 이탈리아군은 에리트레아에서 선전 포고 없이 에티오피아를 침공했다. 이탈리아군은 마렙 강을 건너 에티오피아로 진격했으며, ''레지아 아에로나우티카''의 항공기는 팜플렛을 뿌려 인구에게 하일레 셀라시에 1세에 반항하고 "진정한 황제 이야수 5세"를 지지하도록 요청했다.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의 침공에 대응하여 선전 포고를 했다.
이탈리아군은 에리트레아에 40만 명,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 28만 5천 명의 병력을 집결시켰으며, 3,300정의 기관총, 275문의 포병, 200대의 탱크넷과 205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탈리아군은 항공 사진을 사용하여 진격을 계획했을 뿐만 아니라 겨자 가스 공격도 가했다.
이탈리아군은 아스카리를 포함한 식민군단(RCTC)에 크게 의존했다. 아제부 갈라 등 다양한 현지 "동맹군"도 이탈리아를 위해 싸웠다. 남부에서는 소말리아 술탄 올롤 딘레가 개인 군대를 지휘하여 이탈리아군과 함께 진격했다.
10월 6일 이탈리아군은 아드와를 점령했고, 10월 15일에는 성도 악숨을 점령하여 악숨 오벨리스크를 약탈했다. 11월 8일에는 마칼레를 점령했다.
10월 7일, 국제 연맹 이사회는 이탈리아를 침략자로 규정하고 제재를 결의했으며, 11월 18일에는 경제 제재가 실시되었지만, 석유 등 중요한 전략 물자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4. 2. 에티오피아의 저항과 반격
에티오피아는 국가 총동원령을 내려 약 50만 명의 병력을 모았으나, 대부분 훈련을 제대로 받지 못했고 장비도 열악했다.[8][9] 이들은 모든 종류와 상태의 소총 40만 정으로 무장했고, 견고한 포가에 장착된 약 234문의 구식 야포와 12문의 3.7 cm PaK 35/36 대전차포를 보유했다. 또한 약 800정의 경량 콜트와 핫치키스 기관총, 250정의 중형 비커스와 핫치키스 기관총, AA 마운트에 장착된 약 100정의 .303인치 비커스포, 48문의 20 mm 외르리콘 S 대공포, 그리고 최근에 구매한 75 mm 캐논 드 75 CA 모델 1917 슈나이더 야포를 보유했다. 최고의 에티오피아 부대는 황제의 "케부르 자바그나"(황실 근위대)로, 다른 에티오피아 군대보다 훈련을 잘 받고 장비가 더 좋았다.
1935년 말, 에티오피아군은 '크리스마스 공세'를 통해 이탈리아군에 반격을 가했다. 이 공세는 에티오피아 중앙군으로 북부의 이탈리아군을 분할하고, 에티오피아 우익군으로 이탈리아 좌익군을 궤멸시키며, 에티오피아 좌익군으로 에리트레아를 침공하려는 의도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의 반격은 이탈리아군의 진격을 몇 주 동안 막았을 뿐, 이탈리아군의 우월한 무기와 화학 무기인 겨자 가스를 사용한 공중 폭격으로 인해 에티오피아군은 초기 성공을 이용할 수 없었다.
이후 이탈리아군은 제2차 템비엔 전투 등에서 승리하며 전쟁의 주도권을 잡았다. 1936년 3월 31일 마체우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하일레 셀라시에 1세가 지휘하는 에티오피아 주력군의 반격을 격퇴했다. 전투 이후, 에티오피아 병사들은 이탈리아에 대항하여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는 애국자/''아르베그노치'' 운동으로 발전하게 되는 저항의 흐름을 촉발했다.
4. 3. 이탈리아의 화학무기 사용
이탈리아군은 1925년 제네바 의정서에 서명하여 독가스 사용을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군사적 목표와 민간 목표 모두에 대해 300~500톤의 겨자 가스를 사용했다.[18] 이 가스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생산되어 동아프리카로 수송되었다.[18] 역사가 월터 라커는 전쟁으로 인한 에티오피아 사상자의 최대 3분의 1이 화학 무기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19]
이탈리아는 가스 사용이 에티오피아군에 의해 티토 미니티와 그의 관측병이 오가덴에서 처형된 것에 의해 정당화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가스 사용은 무솔리니에 의해 미니티가 사망하기 거의 두 달 전인 1935년 12월 26일에 승인되었다. 미니티가 사망한 후, "광범위한 규모"의 가스 사용으로 명령이 확대되었다.
적십자 부대와 이집트 구급차가 공격을 받았으며, 1936년 3월 4일에는 쿠람 근처의 영국 적십자 야영지가 가장 의도적인 공격을 받았다. 겨자 가스는 에티오피아 전투원과 마을에 위에서 살포되었다. 이탈리아는 화학전 사용을 비밀로 유지하려 했지만 국제 적십자와 많은 외국 관찰자들에 의해 폭로되었다. 이탈리아는 적어도 19차례의 적십자 텐트 폭격이 "오류"였다고 주장했다.
이탈리아는 가스 포탄과 ''레지아 아에로노티카''가 투하한 폭탄으로 독가스를 전달했다. 에티오피아군은 현대식 무기에 대항하여 약간의 성공을 거두었지만 "불타 죽이는 끔찍한 비"에 대한 방어 수단이 없었다.
하이레 셀라시에는 국제 연맹에 보낸 보고서에서 이탈리아군의 화학무기 사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title=|source=}}
일반적으로 역사가들은 화학 무기 사용이 효과적이었고 사기와 병력에 파괴적이었다고 결론지었지만, 일부는 이에 동의하지 않고 전투에서 무시할 만한 효과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화학 무기 사용은 전쟁을 이탈리아에게 유리하게 만들었고 에티오피아의 사기에 큰 타격을 입혔다.[21]
4. 4. 아디스아바바 함락 (1936년 5월)
1936년 5월 5일, 피에트로 바돌리오가 이끄는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했다.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5월 2일 아디스아바바에서 지부티로 가는 기차에 탑승하여 영국으로 망명했다.
1936년 4월 26일, 바돌리오는 데시에에서 아디스아바바까지 "철의 의지 행진"을 시작했다. 5월 4일에는 데브레 베르한 근처 차차에서 하일레 마리암 맘모 휘하의 에티오피아군이 이탈리아군을 매복 공격하여 약 170명의 식민지군이 사망하기도 했다.
셀라시에 1세는 수도를 향해 후퇴했고, 정부 관리들은 고레로 이동하기로 결정했다. 4월 30일, 셀라시에의 각료회의는 도시를 방어하기로 결의했다. 다음 날 에티오피아 귀족들은 황제가 국제 연맹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고 제안했고, 셀라시에는 이를 채택했다.
셀라시에가 떠나기 전, 임루 하일레 셀라시에가 왕자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아베베 아레가이 휘하의 시 경찰과 친위대는 도시의 질서를 유지하려 했으나, 폭도들이 도시를 활보하며 약탈을 벌였다. 5월 5일, 바돌리오는 1,600대의 트럭과 이탈리아 탱크, 병력 등을 이끌고 도시에 진입하여 주요 지역을 점령했다.
5. 이탈리아의 점령과 저항 운동
1936년 5월 5일 이탈리아군이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하면서,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국외로 망명하였다.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합병하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제국을 수립하고,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에티오피아 황제를 겸임하게 되었다.[25] 피에트로 바돌리오가 초대 총독을 맡았으나, 곧 로돌포 그라치아니로 교체되었다.[25]
이탈리아의 점령 기간 동안 에티오피아에서는 아르베그노치(애국자)로 불리는 저항 세력의 게릴라 활동이 지속되었다. 1936년 5월 10일, 북부 전선과 남부 전선의 이탈리아군이 디레 다와에서 만났다. 이탈리아군은 항복을 위해 접근한 에티오피아 라스, 하일루 테클레 하이마노트를 발견했다. 1936년 말, 이탈리아군이 구라게에서 ''데자즈마치'' 발차 사포를 추적한 후, 그는 전투에서 사망했다. 1937년 12월 21일, 로마는 아메데오 3세 아오스타 공작을 새로운 부왕이자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총독으로 임명했다.
1937년 2월 19일(게에즈력으로 예카티트 12일), 아디스아바바에서 에리트레아 반군인 아브라함 데보치와 모고스 아스게돔이 그라치아니 암살을 시도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이탈리아는 예카티트 12(아디스아바바 대학살)로 불리는 대학살을 자행했다. 에티오피아 측은 3만 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이탈리아 측은 수백 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2017년 학살 관련 역사서에서는 아디스아바바 인구의 20%에 해당하는 19,2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15] 이탈리아인들은 현지 가옥에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질렀으며, 심지어 희생자의 시체 위에 올라 사진을 찍기도 했다.[17]
이탈리아는 혼혈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주거 분리를 포함한 인종 분리 정책을 시행했다.[23] 또한, 암하라족을 고립시키기 위해 오로모족, 소말리아인 및 기타 무슬림들에게 자치와 권리를 부여하고, 노예제를 폐지했다. 1938년 초, 고자메에서 그라치아니 암살 시도 이후 보복을 피한 젊고 교육받은 엘리트들로 구성된 연대 및 협력 위원회가 이끄는 반란이 일어났다. 1939년 ''라스'' 세윰 멩게샤, ''라스'' 게타체우 아바테, ''라스'' 케베데 게브레는 이탈리아 제국에 굴복했고, 게릴라전은 잦아들었다.
6. 국제 사회의 반응
국제연맹은 1935년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략을 비난하고 경제 제재를 결의했으나, 석유 등 중요 전략 물자에는 적용되지 않아 실효성이 없었다. 이탈리아는 국제연맹의 상임이사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기회를 이용해 국제 연맹에서 탈퇴했다. 영국은 무솔리니의 행동을 탐탁지 않게 여겼으나, 다른 주요 강대국들은 무솔리니를 응징하는 데 실제적 관심이 없었다. 프랑스는 이탈리아와 독일의 동맹을 감수할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이탈리아를 달랬고, 영국은 군사적 약세로 인해 프랑스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고 결정했다.
하일레 셀라시에는 국제 연맹에서 연설을 통해 이탈리아의 침략을 비난하고, 방관하는 국제 사회를 비판하며 "오늘 우리이고, 내일은 당신입니다"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국제 연맹은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점령을 인정하지 말라는 결의안을 부결시키고, 1936년 7월에는 이탈리아에 대한 제재를 종료했다.
1936년 11월 18일, 일본 제국은 이탈리아 제국을 인정했고, 이탈리아는 만주에 대한 일본의 점령을 인정했다. 히틀러는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움직일 때 이탈리아가 약해지기를 바라며 에티오피아인들에게 소총과 기관총을 공급했다. 반면, 프랑스와 영국은 1938년에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지배를 인정했다. 멕시코는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주권을 강력하게 규탄하고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존중한 유일한 국가였다. 멕시코를 포함하여 1937년에 이탈리아의 점령을 인정하지 않은 국가는 중국, 뉴질랜드, 소련, 스페인 공화국 및 미국 등 6개국뿐이었다.
미국에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미국 공산당 할렘 지부 등을 중심으로 에티오피아에 의약품을 구매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거나 의용군을 조직하는 등 지원했다. 서아프리카에서는 흑인 지식인 등이 에티오피아를 응원했다.
일본에서는 러일 전쟁 시대부터 친에티오피아 감정이 있었고, 반대로 대 이탈리아 관계에서는 도쿄 올림픽 때의 '이탈리아의 배신' 이후 반 이탈리아 감정이 남아 있었다. 토야마 미쓰루나 의원 등은 '에티오피아 문제 간담회'를 발족하여 이탈리아에 침략 중지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발송했고, 대일본생산당의 우치다 료헤이는 무솔리니에게 항의 전보를 보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이탈리아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유지하기로 결정했고, 이는 후의 이탈리아와의 동맹 관계 구축으로 이어졌다.
나치 독일은 이탈리아의 시선을 유럽에서 이 전쟁으로 돌리기 위해 이념적으로 맞지 않는 에티오피아에 무기를 수출하여 장기화하려 했다.
7. 결과 및 영향
1935년 국제연맹은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략을 비난하고 경제 제재를 결의했으나, 지지 부족으로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탈리아는 이를 기회로 국제 연맹에서 탈퇴했다. 이 전쟁은 국제적 긴장을 증대시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다.
1936년 5월 10일, 이탈리아군은 Dire Dawa에서 만났고, 하일루 테클레 하이마노트가 이탈리아에 굴복했다. 1937년 12월 21일, 아메데오 3세 아오스타 공작이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총독으로 임명되어 공공 사업을 시행하고, 혼혈을 불법화하며 인종 분리 정책을 펼쳤다.[23] 이탈리아는 암하라족을 고립시키기 위해 오로모족, 소말리아인 등에게 자치를 부여하고, 노예제를 폐지했다. 1938년 초, 반란이 일어났고, 이탈리아는 강경 진압했다.
점령군은 15만 명이었으나 1941년까지 25만 명으로 증가했다. 아베베 아레가이는 에티오피아 게릴라 운동을 이끌었다. 1939년 세윰 멩게샤, 게타체우 아바테, 케베데 게브레는 이탈리아 제국에 굴복했고, 게릴라전은 잦아들었다. 1940년 초, 마지막 게릴라 활동 지역은 타나 호수 주변과 남부 고잠 지역이었다.
하이레 셀라시에는 영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지지를 구했다. 1940년 6월 10일, 무솔리니는 영국과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하고,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정복했다. 영국과 셀라시에는 에티오피아 및 기타 현지 세력과 함께 이탈리아군을 몰아내기 위한 작전을 펼쳤다. 1941년 1월 18일, 셀라시에는 에티오피아 국경을 넘었고, 기드온 부대와 합류했다. 1941년 4월 6일, 연합군과 에티오피아 애국자들은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했고, 5월 5일 셀라시에는 아디스아바바에 공식 입성했다. 에티오피아에서의 이탈리아 게릴라전은 1943년 9월까지 지속되었다.
1947년 이탈리아와 평화 조약에서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공식 인정하고 2,500만 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했다.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복위된 황제로 인정받았다.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 점령 기간 동안 입은 피해에 대해 1억 8,474만 6,023파운드의 청구서를 제출했다.
8. 전후 처리
1935년 국제연맹은 이탈리아의 침략을 비난하고 경제 제재를 결의했으나, 전반적인 지지 부족으로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탈리아는 국제 연맹에서 탈퇴했다.[26]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1941년 연합군은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군을 몰아냈다. 하이레 셀라시에는 카르툼에서 영국군 및 에티오피아 저항 세력과 긴밀히 연락하며, 1941년 1월 에티오피아 국경을 넘어 기드온 부대와 합류했다. 1941년 4월 6일, 연합군은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하고 항복을 받아냈으며, 5월 5일 하이레 셀라시에 1세가 공식적으로 아디스아바바에 입성했다.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에서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공식 인정하고 2,500만 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 점령 기간 동안 입은 피해에 대해 1억 8,474만 6,023파운드의 청구서를 제출했다.
9. 한국의 관점
참조
[1]
서적
Storia dell'Aeronautica-l'aeronautica italiana
Hobby e Work
2001
[2]
웹사이트
Secondary Wars and Atroci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necrometrics.[...]
[3]
서적
Glimpses Of World History
http://archive.org/d[...]
1934
[4]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reconsidered: A. J. P. Taylor and the Historians
Routledge
[5]
서적
Gas in Etiopia: I crimini rimossi dell'Italia coloniale
https://books.google[...]
Neri Pozza Editore
[6]
서적
Between bombs and good intentions: the Red Cross and the Italo-Ethiopian War, 1935–1936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6
[7]
논문
Racisms compared: Fascist Italy and ultranationalist Japan
[8]
뉴스
Selassie's Guard Fights on UN Side
https://news.google.[...]
Eugene Register-Guard
1951-06-02
[9]
뉴스
Haile Selassie's Draft Order
The Afro American
1948-04-17
[10]
서적
Slide Rule
William Heinemann
[11]
논문
Recovery of the aerial photographs of Ethiopia in the 1930s
https://linkinghub.e[...]
2016-01
[12]
간행물
Time
1935-12-02
[13]
간행물
Time
1936-02-10
[14]
뉴스
Italy and the Addis Ababa massacre
https://www.economis[...]
2017-07-20
[15]
서적
The Addis Ababa Massacre: Italy's National Shame
[16]
논문
Italy and the Treatment of the Ethiopian Aristocracy, 1937–1940
1977
[17]
서적
Haile Selassie's War
https://books.google[...]
2003
[18]
서적
Cooperation Under Fire: Anglo-German Restraint During World War II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19]
서적
The New Terrorism: Fanaticism and the Arms of Mass Destr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0]
문서
"L'eredità coloniale in Somalia" Section: 'Adua vendicata'
St. Martin P. Inc., New York
1999
[21]
웹사이트
The use of chemical weapons in the 1935–36 Italo-Ethiopian War
https://www.sipri.or[...]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09-10
[22]
간행물
La strage della "Gondrand"
2013-05
[23]
논문
Mussolini's colonial race laws and state-settler relations in Africa Orientale Italiana (1935–41)
[24]
문서
연맹규약제16조의 역사와 국제연합의 장래
有斐閣
[25]
뉴스
에티오피아 황제, 총회에서 비분의 연설
1936-07-02
[26]
뉴스
에티오피아를 못본체하고, 임시총회 폐막
1936-07-06
[27]
뉴스
백인의 전율
http://j.mp/46bgjFD
1935-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